뉴스레터: 2025년 3월 셋째주 글로벌 & 한국 경제·기술 동향

안녕하세요! 2025년 셋째주, 세계와 한국의 주요 경제, 기술, 무역 소식을 전해드리는 루시케 뉴스레터입니다. 이번 호에서는 미국의 새로운 무역 정책, AI 기술 전망, 한국 의약품의 글로벌 진출, 그리고 경제 수출 동향 등을 다룹니다. 함께 살펴보시죠!

 

 

1. 미국, 상호관세 도입 후 양자 협상 예고…한미 FTA도 영향권?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내달 2일부터 전 세계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부과하고, 이후 국가별 양자 무역협정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공정성과 상호성을 기준으로 무역을 재설정하겠다”며, EU와 같은 선진 경제권의 무역 불균형을 문제 삼았습니다. 핵심 산업(반도체, 자동차 등) 보호와 미국 내 생산 유인을 강조하며, 한국과 같은 FTA 국가도 예외 없이 협상 테이블에 오를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한미 FTA 개정 여부는 상호관세 부과 근거에 따라 결정될 전망입니다.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317001451071

 

 

2. 구글 딥마인드 CEO: “인간 수준 AI, 5~10년 내 등장”

 

구글 딥마인드 CEO 데미스 허사비스는 인간 수준의 범용인공지능(AGI)이 “5~10년 내” 출현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이는 일론 머스크(2026년)나 오픈AI 샘 올트먼(가까운 미래) 등 낙관론보다 신중한 전망입니다. 허사비스는 AGI의 핵심 과제로 “현실 세계 맥락 이해”를 꼽으며,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 연구가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AI 초지능(ASI)은 그 이후 단계로, 시기는 불확실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318006300091

 

3. 에콰도르·이집트, 한국 의약품 심사 간소화…K-바이오 수출 가속

 

에콰도르와 이집트가 한국 의약품 규제 신뢰도를 인정하며 심사 절차를 간소화합니다. 에콰도르는 6월 30일부터 대한민국약전을 참조 약전으로 공식 인정, 허가 절차를 간소화하고 변경 신청을 통지로 대체합니다. 이집트는 한국을 ‘참조국’으로 등재하며 신속 심사제를 적용합니다. 식약처와 제약바이오협회는 이번 성과가 남미·아프리카 시장 진출의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319045600017

 

 

4. 미국 국무부, 한국과의 과학 협력 지속 의지 표명

 

미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 리스트에 추가했지만, 국무부는 “한국과의 긴밀한 과학 연구 협력을 지속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4월 15일부터 에너지부 시설 방문 및 공동 연구에 사전 허가가 필요하지만, 이는 외교·안보와 무관하다는 설명입니다. 한편, 북러 군사 협력에 대해선 강한 우려를 표하며, 러시아의 대북 지원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MBC뉴스: https://imnews.imbc.com/news/2025/world/article/6697721_36725.html

 

5. 3월 수출 4.5% 증가…반도체·선박이 견인

 

3월 1~20일 수출액은 355억 달러로 전년 대비 4.5% 늘었습니다. 반도체(11.6%), 선박(80.3%) 호조가 주효했으며, 일평균 수출은 8.2% 증가했습니다. 미국(2.5%), EU(15.2%)로의 수출은 증가했으나, 중국(-3.8%)은 감소세입니다. 수입은 1.4% 줄어 무역수지는 11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321031651002

 

6. 한국은행, “서비스 수출이 신성장동력…투자·규제 완화 필요”

 

한국은행은 서비스 수출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하며, 기업의 투자 확대와 정부의 규제 완화를 제언했습니다. 한국의 서비스 수출은 지식서비스(연평균 13.4% 성장)에서 두각을 나타내지만, 고부가가치 산업과 글로벌 경쟁력은 아직 부족합니다. K팝·게임 등 문화 콘텐츠와 제조-서비스 융합이 강점으로 꼽히며, 원천기술 개발과 인재 양성이 과제로 지적됐습니다.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320057000002

 

마무리

 

이번 뉴스레터는 미국의 무역 정책 변화부터 AI 기술, 한국의 수출 경쟁력까지 다양한 주제를 다뤘습니다. 글로벌 경제와 기술의 흐름 속에서 한국이 어떤 기회를 잡을지 주목됩니다. 다음 뉴스레터에서 더 흥미로운 소식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